본문 바로가기
영화 와 책 리뷰

쇼생크 탈출. 자유를 꿈꾸고 탈출을 꿈꾸다.

by 장동걸 2022. 2. 26.

벗어날 길 없는 억울함.

영화 쇼생크 탈출에서 은행 간부 앤디(팀 로빈스)는 아내와 애인을 죽였다는 누명을 쓰며 종신형 유죄판결을 받아 쇼생크 감옥으로 보내진다. 쇼생크 감옥은 중범죄들로 가득 찬 지옥 같은 곳이었고 뿐만 아니라 교도관들의 잔인한 폭력으로 죽어나가는 죄수가 많이 발생했던 악명 높은 곳이었다. 처음 이곳에 보내진 앤디와 그리고 함께 보내진 다른 신입 죄수들을 두고 기존의 죄수들은 누가 먼저 소리 내어 울지 내기를 건다. 앤디가 먼저 울고불고 난리를 칠 것이라 예상한 레드(모건 프리먼)는 그에게 베팅한다. 엔디는 차분한 성격의 소유자였으므로 레드는 내기에 지게 되어 분통을 터트리는데 이후로 레드는 엔디의 생활에 관심을 보이게 되며 시간이 흘러 교도소 내에 가장 친한 친구가 되어간다. 억울한 옥살이에도 불구하고 순탄하게 교도소 생활에 적응해가던 어느 날 게이 죄수의 눈에 띄게 된 엔디는 지속적인 괴롭힘을 당하고 결국 강간까지 당하게 된다. 갑자기 찾아온 시련의 시간을 보내게 되는 앤디는 우연한 기회에 교도관의 세금 문제를 도와준 계기로 인해 교도관들의 신망을 받아 보호 받음으로써 게이의 괴롭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그 게이 죄수는 끝내 교도관들의 폭행으로 목숨을 잃게 된다. 앤디의 금융지식의 능력이 교도소장의 귀에까지 들어가 이제는 소장의 금융업무를 도와주며 교도소 안에 도서관을 설치하는 등 교도소 내에서 그렇게 삶의 이유를 찾아가고 있었다. 하지만 억울한 옥살이를 하고 있었고 또 이곳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없는 상황을 인지한 앤디는 차곡차곡 탈옥의 준비를 시작하게 된다. 많은 세월이 지나 흰머리가 희끝희끝 올라온 엔디 그동안 조금씩 조금씩 파왔던 수감실의 벽을 통해 마침내 탈옥에 성공하고 그가 평생 꿈꿔왔던 멕시코 해안의 작은 집에서 물고기를 잡으며 행복한 나날을 보낸다. 교도소장의 비리를 너무나 잘 알고 있었던 엔디는 소장 은행계좌의 비자금을 모두 자신의 것으로 돌린 그 돈을 자양분 삼아서 말이다. 소장은 엔디의 폭로로 구속될 위기에 결국 자결로 생을 마감한다. 쇼생크 탈출이라는 영화는 극한의 상황에서 자유를 향한 앤디의 절심함을 통해 자유의 소중함을 표현했다.

자유를 향한 배우들의 열연과 훌륭한 각본.

영화 쇼생크 탈출은 27년전 상영한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티브이 매체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대표 명작이다.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이라는 소설이 원작이며, 수감실 벽을 위장할 때 쓴 큰 포스터의 주인공이 바로 리타 헤이워드이다. 극 중 앤디(팀 로빈스)는 다소 차갑게 생긴 외모에 차분한 성격으로 교도소 생활에 점차 적응하는 연기를 훌륭히 소화한다. 때론 지적인 카리스마와 한때 사회에서 잘 나갔던 사람의 이미지를 잘 그렸다. 교도소에서 친해진 레드(모건 프리먼) 역시 사회에서 한순간의 실수로 종신형을 선고받고 교도소 안에서 참회하며 자유에 대한 희망의 욕구 표현과 또 좌절하고 모든 것을 내려놓는 순간의 연기를 아주 몰입감 있게 잘 연기했다. 감독과 배우들의 짜임새 있는 조화가 이렇게 이 시대 대표 영화를 만들어 낸다.

자유에 대한 소중함을 깨닫다.

쇼생크 탈출은 억울하게 감옥에 가야했던 앤디의 수감생활을 그리고 있다. 한순간에 자유를 박탈당해 사회와 격리된 앤디는 특유의 차분한 성격으로 적응 해나가지만 인간의 본성이 늘 자유로 향하고 있다는 걸 이영화를 통해 다시금 느껴본다. 천둥이 치고 폭우가 내리는 어느 날 어렵게 죽을힘을 다해 벽과 오물 배수관을 통과하며 탈출에 성공해 오물을 씻어내고 두 팔 벌려 만세를 하는 모습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통쾌함 이였을까, 부당한 장소에서 생존했다는 안도감의 표현이었을까 말이다. 가석방 심사석에 앉은 레드의 다 내려놓은 듯한 표정에 단호한 연기도 인상적이었다. 솔직한 자신의 감정적인 호소가 얼마나 큰 영향력이 있는지 느껴본다.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은 가식적인 말과 표현, 그리고 가식적인 생활들을 자주 하는데, 그러한 모습 또한 뒤돌아보게 한 명장면 이었던 거 같다. 일상생활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잘 느끼지 못하는 자유의 소중함과 진실한 삶의 태도를 쇼생크 탈출을 통해 되새겨 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