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겁이 많아서 검사가 된 사람이야.
광역수사대 최철기(황정민)는 대한민국을 충격에 빠트린 연쇄 살인사건의 수사를 담당하게 되고 수사팀을 구성한다. 경찰청 입장에서는 경찰대 라인도 아니고 꼬리 자르기도 좋으니 안성맞춤의 적임자였으므로 강국장을 통해 명령이 하달된 것이었다. 수사를 시작한 광역수사대 최철기는 엉뚱하게도 여러 용의자의 사진을 바닥에 흩뿌려 이 중에 분명 용의자가 있다 자신을 하며 곧이어 한 명의 용의자를 찍어낸다. 마치 용한 무당이 점치듯이 말이다. 곧장 최철기는 자신의 스폰서 해동건설 스폰서 장석구(유혜진)를 통해 사진 속 인물 이동석을 배우(조작된 범죄자)로 만들어 오라고 윽박지른다. 사건의 크기로 인해 장석구는 처음엔 이를 완강히 거부하지만 갑을 관계의 그들 관계에서 장석구는 최철규와의 부당 거래를 거부할 수 없었다. 이동석을 찾아간 장석구는 이동석의 외모에 실소를 터뜨리며 협박을 해 나간다. 동석아 너 오늘부터 범인 해라. 이렇게 사건은 쉽게 마무리되는 줄 알았다. 한편 주임검사 주양(류승범)의 스폰서 김 회장으로부터 최철기 반장에 대한 민원을 제기 받아오온 주양 검사는 최철기의 행적에 대해 주시를 하고 있었던 차에 최철기 반장의 피의자가된 이동석 사건을 이첩받게 된다. 조사를 하다가 이동석의 진술번복으로 수상함을 감지한 주검사는 경찰들이 배우를 썻다는 것을 알아내고 평소 친한 기자를 통해 이사실을 흘리게된다. 다음날 경찰의 날조사건이 온세상에 퍼지자 발칵 뒤집혀진 경찰청은 최철기 반장을 불러 강력한 책임 추궁을 하게 된다. 주검사의 태도에 격분한 최철기는 주검사에게 맞서보지만 최철기 반장의 사돈의 팔촌등 모든 가족과 동료 형사들까지 조사를 한 주검사의 권력앞에 결국 꼬리릴 내린다. 내가 겁이 많아서 검사가 된 사람이야 라며 최철기 반장을 조롱하기까지한 주검사는 최철기반장의 고분고분해진 모습에 이내 화를 풀고 손을 내민다. 사건이 일단락난 후 최철기반장은 자꾸 말썽을 부리는 자신의 스폰서 장석구를 정리하기로 마음 먹고 또 다른 스폰서를 만들어 장석구를 처리하라 지시한다. 그렇게 장석구는 처리되었지만 새로 만든 스폰서가 또 자신과의 대화를 녹음해 자신을 압박해오자 총을 꺼내드는데 뒤를 밟은 부하 형사 대호(마동석)의 만류로 서로 옥신각신 하게된다 이과정에서 대호가 최철기의 총에 맞아 죽게되어 오열을 한다. 같은 동료형사의 죽음을 뒤로한채 진급을 위한 자리에서 축하를 받으며 영전을 하게된 최철기는 죽은 대호의 장례식조차 참석을 안한다. 또다른 동료 형사들의 수사끝에 대호의 죽음이 밝혀지고 최철기는 끝내 동료형사들의 총격으로 죽음을 맞이하며 영화 부당거래는 막을 내린다.
나하고 자꾸 라이벌 관계를 맺을라고 하지 마.
2010년 개봉한 영화 부당거래는 많은 명대사를 쏟아냈다. 열심히들 산다, 호의가 계속되면 그게 권리인 줄 알아, 나하고 자꾸 라이벌 관계를 갖지 마,등 수많은 유행어를 만들어낸다. 특히 검찰조직과 경찰관계를 조명함으로써 점점 커지는 경찰의 권한과 힘이 검찰조직에 긴장감을 주는 장면이 인상적이였다. 나하고 자꾸 라이벌 관계를 갖지마 라는 대사는 이를 대표적으로 표현한다 생각된다.
연기자들의 연기 또한 캐릭터에 맞게 훌륭한 연기를 소화했는데, 광역수사대 반장 최철기는 스폰서 장석구와의 관계에서 도움을 줄곧 받게 되지만 무언가 찜찜한 기분을 관계 설정 과정에서 잘 표현했다. 경계하고 거리를 두려는 긴장감이 느껴 저서 좋았다. 주양 검사의 돌출된 연기는 부당 거래라는 영화를 한층 가열시켰으며 흥행으로 이끌었다.
검찰과 경찰의 권력관계 그리고 부당 거래
검사동일체 원칙과 검. 경 수사지휘권이 점차 약화되고 있었던 시기의 두 조직은 서로 긴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마치 악어와 악어새와 같은 관계 말이다. 이런 시대적 배경에 광역수사대 최철기의 항명에 위축되는 주양 검사는 끝내 최철기 반장을 굴복시키며 한마디 내 벹는다. 나하고 자꾸 라이벌 관계를 갖으려 하지 마, 내가 겁이 많아서 검사가 된 사람이야. 라며 자신의 우위를 확인한다. 이 장면은 아직까지 검찰 조직의 우의를 영화 부당거래는 표현한다. 대한민국 역사상 검찰조직의 수사권, 기소권 독점은 우리 사회에 많은 부작용을 일으켜왔다 생각한다. 그 권한의 역사는 현대사 50년이 넘었을 것이다. 이런 막강한 권한으로 현재 대한민국 최고의 권력기관으로 자타공인 인정받고 있는데, 그 권한의 힘은 느껴보지 못 한 사람은 상상도 하지 못할 거대한 그런 것일 것이다. 하지만 2018년 현재 공수처와 경찰과의 수사권 조정 등을 통해 권한의 분산이 이루어져 그나마 다행이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영화 부당거래는 최철기 반장과, 주양 검사, 그리고 배우의 이동석을 통해 그런 권력기관 간의 경쟁을 단적으로 보여줬다.
'영화 와 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캐치 미 이프 유 캔. 천재 사기꾼의 이야기. (0) | 2022.02.27 |
|---|---|
| 범죄도시. 마동석 이동네는 내가 지킨다. (0) | 2022.02.27 |
| 캐스트 어웨이. 무인도에서의 생존본능을 깨우다. (0) | 2022.02.26 |
| 쇼생크 탈출. 자유를 꿈꾸고 탈출을 꿈꾸다. (0) | 2022.02.26 |
| 공작. 북한의 핵 개발정보를 입수하라. (0) | 2022.02.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