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장애인 스포츠 지도자2급 실기 종목 선택 방법.

by 장동걸 2022. 3. 17.

장애인 스포츠지도자 2급 실기 역도종목 사진

장애인 스포츠 지도자 실기는 '역도'가 답이다.

장애인 스포츠 지도자 2급 실기 중에 역도를 추천하는 이유는 종목이 3 종목이고 평소 운동에 관심이 있던 분들이라면 한 번이라도 접해봤을 운동이기 때문이다. 종목은 아래와 같다. 

 ●Bench press

 ●Dead lift

 ●Back squat

-각 종목 주의 사항은 종목 수행 시 운영요원이나 시험 감독관의 수신호나 구령에 맞춰서 동작을 해야 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Bench press 같은 경우 심판(운영요원)의 스타트 구령에 기구를 가슴에 내리면 되고, 기구를 들어 올린 후 랙이라는 구령에 맞게 원래의 위치로 기구를 내려놓으면 된다. 자세한 주의사항은 밑에 따로 기술하겠다.

장애인 스포츠 지도자 취득 후 무기계약직 취업 도전

위의 공고문은 어느 지역의 장애인체육회에서 올라온 구인 공고문이다. 위에 내용을 보면 알다시피 현제 생활체육 지도자들은 무기계약직으로 정년시까지 근무가 가능하다. 즉 공무원 보수규정과 처우를 함께 받을 수 있다. 자격요건은 아래와 같다.

장애인스포츠지도사 자격증 취업정보 사진

 장애인 스포츠 지도자 자격증이 앞으로도 취업하기 좋은 이유는 2020년부터 대한 장애인체육회는 자격증이 없는 지도자는 지도자 등록을 안 하겠다고 알린 바 있어 유예기간이 끝나는 내년부터는 대규모 인력 교체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역도 종목 사용 설명서(실기)

●Bench press(벤치프레스): 장애인 역도에서 벤치프레스는 페럴림픽 종목인 Powerlifting(파워리프팅)과 국내 전국체전에서 실시하는 Weightlifting(웨이트리프팅) 두 개의 종목으로 이루어진다. Powerlifting은 리프팅 후 가슴에 바(bar)를 내렸을 때 멈춤 동작(약 2초 정도)을 하고 들어 올리면 성공하게 되는 점이 일반 벤치프레스와 차이가 난다. 

웨이트리프팅(Weightlifting)의 경우는 처음 동작이 바(Bar)가 가슴에 내려져있고 심판의 스타트라는 구령과 함께 밀기만 하면 성공하는 종목이다.

 

●Deadlift(데드리프트): 데드리프트는 일반적인 동작과 별반 다를 게 없다. 데드리프 동작으로 마무리동작까지 허리를 편후 심판의 다운이라는 구령과 함께 기구를 내려놓으면 된다.

 

●Back squat(백 스쾃): 백 스쾃의 경우도 별반 차이가 없다. 기구를 랙에서 들고 나와 심판의 앉아 라는 구령과 함께 스쾃 수행을 하면 성공이다. 

 

위에 내용은 글로 하다 보니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사실 운동 좀 하셨던 분들은 벤치프레스의 구분만 잘하시고 실패 사례만 잘 숙지하여 준비한다면 실기 시험은 문제가 없을 거로 생각된다. 

 

벤치프레스 실패사례

●신체 위치

 -선수가 리프트 하는 동안 신체의 위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리프트를 하는 동안 선수의 머리, 어깨, 엉덩이, 다리 및 뒤꿈치가 벤치에 접촉하지 않은 경우

 -리프트를 하는 동안 선수의 다리가 완전하게 뻗어 있지 못하는 경우(예, 절단 선수)

 -선수가 바를 엄지손가락으로 감싸서 쥐어 잡지 않은 경우

 -선수의 모든 손가락이 바의 둘레를 단단히 안전하게 감싸서 잡지 않은 경우

 -선수 양손 그림의 간격이 81cm를 초과하는 경우

 -시작 지시가 내려지기 전에 선수가 리프트를 시작한 경우

 

●바 제어 동작

 -팔꿈치가 고정된 팔 길이에서 바를 통제하에 잡을 수 없는 경우

 -시퀀스(동작) 진행 중 바와 스포터, 로더 사이에 접촉이 있는 경우

 -바를 통제하지 못한 채, 가슴으로 내려간 경우

 -바를 통제하지 못한 채, 프레스 한 경우

 -바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

 -바를 따라서 손을 옆으로 움직이는 경우

 

●가슴 동작(Chest sequence)

-바의 상하 움직임 동작 사이에 가슴 위에서 명백하게 보이는 눈에 보이는 확실한 멈춤이 없는 경우

-바가 가슴에서 정지후 밀어 올리기 전 가슴 쪽으로 주저앉는 경우

-바가 접촉 없이 가슴 위에서 멈춘 경우

-바를 들썩거리는 경우

-바를 튕기는 경우

 

장애인 스포츠 지도자 2급 실기 시험은 보통 7월에 실시하는 걸로 알려져 있다. 취득 후 일정기간이 지나면 장애인 스포츠 지도자 1급도 응시할 수 있으니 관심 있는 분들은 도전해보시는 걸 추천드린다.

 

댓글